원죄 없는 잉태
한자 原罪~孕胎
라틴어 conceptio immaculata
영어 immaculate conception
마리아가 잉태 첫 순간부터 원죄의 아무 흔적도 받지 않았다는 교리.
이는 마리아가 그리스도의 어머니가 되기에 적합하도록
그리스도의 예견된 공로에 비추어 미리 하느님이 섭리한신 특전이다.
교회는 ‘원죄없는 잉태’가 사도들에게 계시되어 교회 내에 전래되어 온 교리의 일부라고 가르친다.
성서에는 원죄 없는 잉태 교리에 대한 명시적인 표현이 없다.
그러나 사도들의 구두 가르침에 이 교리가 포함되어 있었고, 다른 명확한 가르침에 은연중 내포되어 있었는데,
이는 복음의 씨앗이 그리스도 교인의 가슴에 열매를 맺고 난 이후에 비로소 전면에 드러난 것이다.
성서상 간접적인 근거로 창세 3:15와 루가1:28을 들기도 하지만, 원죄 없는 잉태에 대한 뚜렷한 신앙은
마리아의 성덕(聖德)에 대한 일반적인 교리를 구체화하는데서 비롯되었다.
루가복음 제1장과 제2장은 마리아를 예외적으로 거룩한 사람으로 보고 있으며
그녀의 성덕을 그리스도의 어머니로 선택받은 사실과 관련시킨다.
“너는 하느님의 은총을 받았다. 이제 아기를 가져 아들을 낳을 터이니”(루가 1:30-31),
이러한 마리아의 성덕은 성모 영보 때 뿐 아니라
마리아의 잉태 순간부터 갖추었음이 수세기가 지난 후에 비로소 밝혀졌다.
① 초기의 발전 :
초대 교회의 교부들은 마리아를 거룩하다고 여겼으나 죄의 흔적이 없다고 보지는 않았다.
시일이 지나면서 교회 안에서는 마리아의 성덕에 대한 신심으로 발전하였고,
한편 마리아가 잉태될 때부터 원죄에 물들지 않았다는 신심의 발전을 보았다.
이 신심은 8-9세기까지 비잔틴 세계 일대에 널리 전파되었다.
그러나 서방세계에는 전파 속도가 느린 편이었다.
아와 같은 신심의 발전은 마리아가 받은 하느님의 은총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나 명제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 교인들의 가슴속에서 공통적으로 느끼는 신앙감(sensus fidei) 때문이었다.
복음을 실천하는 일상생활 가운데 그들은 이 진리를 긍정하고 싶은 내면적 요구를 경함한 것이다.
이 신심은 원죄 교리와 조화시키지 못했으나 이 시기에는 별다른 논쟁이 없었다.
② 중세 서방교회 :
서방교회는 1125년경 마리아의 잉태를 기념하는 축일을 부활시켰는데,
이때에 즈음하여 미리아의 잉태가 지닌 성격이 논점으로 부각되었다.
스콜라 신학자들에 의하면, 마리아가 원죄에 물든 적이 없다면
만인(萬人)의 구세주인 그리스도의 구속을 받았다고 할 수 없지 않느냐 하는 점이 문제되었다.
즉 원죄 없는 잉태와 구원의 보편성을 조화시키는 문제였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마리아가 원죄에 물들었으나 탄생 전에 원죄의 사함을 받았다고 설명했으나,
요한 둔스 스코투스는 선행구속(先行救贖)이란 개념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즉 마리아는 아담의 후손이므로 의당히 원죄의 죄과를 받아야 했지만 하느님은
그리스도의 예견(豫見)된 공로에 비추어 마리아를 원죄에서 면제해 주기로 하셨다는 것이다.
③ 교의(敎義)의 규정 :
역대의 교황은 오랫동안 이 문제를 신학자들의 연구대상으로 남기었다. 17세기에 이르러 이를
믿을 교리로 규정에 달라는 신자들의 빗발치는 요청에도 불구하고 여러 교황은 거절하였다.
교황 그레고리오 15세는 “끊임없이 기도했으나 성령은 이 신비의 비밀을 열어 보이지 않고 있다”고
대답하였다. 마침내 1854년 교황 비오 9세는 주교들과 신학자들의 협의를 거쳐 이를 교의로 선포하였다.
“복되신 동정녀 마리아는 자기의 잉태 첫 순간에
전능하신 하느님의 특별은총과 특권으로 말미암아
인류의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의 예견된 공로에 비추어
원죄의 아무 흔적도 받지 않도록 보호되셨다.”
이처럼 단정하는 근거는 성령의 도유를 받은 신자들의 총체가 공통적 신앙감을 지니고
신앙이나 도덕에 관하여 같은 견해를 표시할 때 그 총체는 믿음에 있어서
오류를 범할 수 없다는 데에 있다(교회 헌장 12참조).
-가톨릭대사전에서-
![](http://home.catholic.or.kr/attbox/bbs/include/readImg.asp?gubun=300&maingroup=1&filenm=1208maria%2Ejpg)
둔스 스코투스는 마리아의 원죄없음이 그리스도의 보편적 구원능력을 삭감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돋보이게 하는 것으로 이해 하였다.
그는 세가지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첫째, 하느님께서는 마리아가 한 순간도 원죄의 지배 하에 있지 않도록 하실 수 있다.
둘째, 어느 한 순간만 원죄의 지배 하에 있게 하실 수 있다.
셋째, 마리아가 원죄의 지배를 받더라도 일정 시기가 지난 다음 원죄로 부터 성화하실 수 있다.
그는 하느님께서 이 세 가지 가능성에서 가장 좋은 것을 마리아에게 이루셨으리라고 확신하였다.
이로써 "하느님은 하실 수 있었고, 원하셨으며, 따라서 그렇게 하셨다."
(Potuit, voluit, fecit)라는 유명한 공식이 성립되었다.
그러나 마리아의 원죄 없는 잉태에 관한 논쟁은 1854년 12월 8일 회칙 「형언할 수 없는 하느님」
(Ineffabilis Deus )에 의해 '복되신 동정녀 마리아의 무죄한 잉태' 가 교의로 선포되기까지 계속되었다.
(마리아론-조규만지음.가톨릭교리신학원에서)
*복자 둔스 스코투스 축일:11월8일.게시판1460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http://home.catholic.or.kr/attbox/bbs/include/readImg.asp?gubun=300&maingroup=1&filenm=1208Immaculate2%2Ejpg)
성 안셀모 주교의 기도에서
동정녀여, 당신이 받으신 축복으로 모든 피조물이 축복받았습니다
마리아여, 하늘과 별, 땅과 강들, 낮과 밤, 그리고 사람의 유익을 위해 창조되어
사람의 권하에 속하는 모든 것들은 죄로 인해 잃었던 첫 영광을 당신으로 말미암아 되찾아
표현할 수 없는 새 은총을 얻게 되었으므로 서로들 기뻐하고 있습니다.
만물의 첫 목적은 하느님께 찬미 드리는 사람을 섬기고 그에게 유익이 되어 주는 일이었지만,
그들이 본래 지닌 이 목적의 품위를 잃어버렸을 때 죽은 채로 있었습니다.
만물은 안팎으로 파괴되고 우상의 노예가 된 사람들의 남용으로 말미암아 이그러지고 말았습니다.
그런데 그들은 우상을 섬기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습니다.
이제 만물은 하느님께 찬미 드리는 사람들의 권하에 들어가 그들에게 유익한 것이 되었으므로
되살아난 듯 기뻐하고 있습니다.
새롭고도 헤아릴 수 없는 은총을 입어 만물은 기뻐 용약했습니다.
이제 그들은 자신들을 지어내신 하느님께서 하늘로부터 보이지 않게 다스리시는 것뿐만 아니라
자기들 가운데 보이게 현존하시어 자신들을 사용하심으로써 거룩함을 나누어 주신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이렇듯이 큰 은혜들은 복되신 마리아의 복된 태중에서 태어나신 복된 열매로부터 나왔습니다.
마리아여, 당신 은충의 충만함으로 말미암아 명부에 있던 이들은 해방되어 기뻐하고
지상에 있는 이들은 새로워져 기뻐합니다.
당신의 영광스러운 동정성의 열매이신 영광스런 아드님으로 말미암아
생명을 주는 그분의 죽음이 있기 전에 죽었던 모든 의인들은 그들의 포로 생활이 끝났기에 기뻐하고,
천사들은 반쯤 허물어진 자기들의 도성이 다시 세워지는 것을 보고 용약합니다.
넘치는 은총으로 충만하신 여인이여,
모든 피조물이 당신 충만함의 흘러 넘침을 입어 새싹이 트듯 되살아납니다.
복되고도 지극히 복되신 동정녀여,
당신이 받으신 축복으로 말미암아 모든 피조물은 창조주로부터 축복을 받고
창조주께서는 그들로부터 찬미를 받으십니다.
하느님께서는 자신의 품안에서 태어나시고 자신과 같으시며 자신처럼 사랑하시던 외아드님을
마리아에게 주셨습니다.
그리고 본성상 하느님과 마리아의 유일하고 공통적인 아들이 되도록 마리아에게서 한 아들을 지으셨습니다.
그는 다른 사람이 아니고 같은 외아드님이셨습니다.
모든 피조물은 하느님으로 말미암아 창조되었고 하느님은 마리아에게서 태어나셨습니다.
하느님께서는 만물을 창조하셨고 마리아는 하느님을 낳으셨습니다.
만물을 지어내신 하느님께서는 마리아에게서 태어나신 분이 되시고
이렇게 하여 당신이 지어내신 모든 것을 재창조하셨습니다.
무에서 만물을 지어 내실 수 있었던 분은 실추한 피조물을
마리아의 도움 없이 재창조하기를 원치 않으셨습니다.
그러므로 하느님께서 창조된 만물의 아버지이시고 마리아는 재창조된 만물의 어머니이십니다.
하느님께서는 우주형성의 아버지이시고 마리아는 우주 재형성의 어머니이십니다.
하느님께서는 그를 통해서 만물이 창조된 분을 낳으셨고
마리아는 그를 통해서 만물이 구원된 분을 낳으셨습니다.
하느님께서는 그 없이는 아무것도 존재치 못하는 분을 낳으셨고
마리아는 그 없이는 아무것도 제대로 존재치 못하는 분을 낳으셨습니다.
마리아여, 주님께서 참으로 당신과 함께 계십니다.
주님은 만물이 주님 자신에게만이 아니라 당신에게도 큰 은혜를 입도록 하셨습니다.
(가톨릭홈에서)
*성 안셀모 주교 학자 축일:4월21일.게시판1109번,1721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b/1511/1208The%20Immaculate%20Conception-GRECO,%20El.jpg)
The Immaculate Conception-GRECO, El
1607-13.Oil on canvas, 323 x 167 cm.Santa Cruz Museum, Toledo
임마꿀라타는 ’나는 원죄없이 잉태되었다’는 뜻을 가진 성모님 다른 이름이다.
원죄없으신 성모님은 한국의 수호성인으로 1841년(교황 그레고리오 7세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원죄없으신 성모께 대한 공경은 오래전부터 이어져왔지만
1854년 12월 8일 교황비오 9세께서 믿을교리로 선포했고
1858년 3월 25일에는 루르드에서 성모님은 벨라뎃다에서 발현하시고
’나는 원죄없이 잉태되었다’ 말씀하심으로 교황선포가 재확인되었다.
원죄없으신 잉태는 하느님의 어머님께 드리는 가장 아름다운 이름이다.
![](http://home.catholic.or.kr/attbox/bbs/include/readImg.asp?gubun=300&maingroup=1&filenm=DSCN4011%284%29%2EJPG)
프랑스 루르드의 마사비엘 동굴
1858.3.25(성모영보축일) "나는 원죄없이 잉태된 자" 라고 명백히 말씀하셨다.
"QUE SOY ERA IMMACULADA COUNCEPCIOU" ("I am the Immaculate Conception")
원죄 없이 잉태
신학자들은 안나가 마리아를 낳을 때 별로 해산의 고통이 없었으며, 남편과도 관계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성 벨라도는 출산의 고통이란 원죄에서 오는 것이므로
구세주를 낳으실 원죄 없으신 성모님의 탄생에 고통이 없음은 당연하다고 했다.
성모님은 그의 모친 안나의 태중에 잉태하시는 순간부터
죄에서 수호되시고, 은총을 받았기에 원죄가 없으심은 당연하며,
온 교회가 이를 확실히 믿는 것은 당연하며, 온 교회가 이를 확실히 믿는 것은 더욱 당연한 일이다.
성서상 간접적인 근거는 창세기(3/15)와 루가복음(1/28)이다.
교황 비오 9세는 1954년 12월 8일, 성모님은 잉태의 순간부터 죄로부터 수호되셨다.
즉, 죄의 물듦이 없이 잉태되는 은총을 받으셨다는 것을 신조(성모 무염시태)로 선언하였다.
그후 4년 후에는 프랑스의 루르드의 성모님이 발현하셨을 때
성모님은 "나는 원죄 없이 잉태 되었다" 라고 말씀하심으로써 그 선포가 참 됨을 증명해 주셨다.
축일은 (12월8일) 1708년 교황 클레멘스 11세가 정하였다.
![](http://home.catholic.or.kr/attbox/bbs/include/readImg.asp?gubun=300&maingroup=1&filenm=%B8%ED%B5%BF%B4%EB%BC%BA%B4%E7%2E%BC%BA%B8%F0%C0%DA%BB%F3%2Ejpg)
성모 신심
한국 천주교회와 성모 마리아
그리스도의 어머니 성모 마리아에 대한신심은 예전부터 특별한 공경으로 교회안에 전승되어 왔다.
이러한 성모 신심은 직접적으로 우리의 신앙에 영향을주며 자칫 자나치거나 굴곡된 성모 신심은
많은 신자들에게 오해와 환상을 일으키는 결과를 주게 되곤 한다.
1. 한국 천주교회와 성모 마리아
1838년 12월 1일 제2대 교구장 앵베르 주교는 교황에게 ’원조없이 잉태되신 성모’를
조선교구의 수호성인으로 정해줄 것을 요청했고
교황 그레고리오 7세는 1841년 이를 허락함으로써 한국교회와 성모 마리아와의 공적인 관게가 시작되었다.
이에 앞서 1864년 다불리 신부는 고주 수리치골에서 성모성심회라는 신심단체를 조직했는데
이것이 한국교회 마리아 신심 단체의 효시를 이룬다.
이후 1954년 성모의 원죄없으신 잉태 교리선언 1백주년 기념 성모성년 대회에서 한국교회는 다시한번
성모 마리아께 봉헌됐고, 1984년 5월 6일 교황요한 바오로 2세는 원죄없이 잉태되신 성모를
주보성인으로 모시고 있는 명동 대성당에서 한민족과 한국 교회를 마리아께 봉헌했다.
한국교회는 이처럼 성모 마리아와 특별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오늘날의 활발한 마리아 신심운동은
바로 이같은 전통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 바른 성모공경을 위해
그러나 한국 교회의 적지않을 수가 성모발현과 관련한 기적과 징표만을 찾아
예수를 외면한 마리아 중심의 그릇된 심심을 가지을 따르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마리아 공경은 결코 교회의 성사와 전례에 우선되어서는 안된다.
일부 신자들이 미사성체와 성체성사보다 마리아 신심을 앞세워 마리아를 신격화하는 경향을
올바른 신앙교육을 통하여 마땅히 시정되어야 할 점이다.
특히 오늘날 교회의 전통적인 가르침에도 불구하고 사목자들의 지시도 받지않은채
사적계시를 빌미로 출판물과 개별집회를 통해 마리아에 대한 어긋난 맹목적 유포는
반드시 근절되어야 할 것이다.
성모에 대한 신심의 핵심은 예수 그리스도를 삶의 중심으로 모시는 데에 있다.
마리아가 교회로부터 공경을 받는 이유는
하느님의 직극히 거룩하신 모친이고 그리스도의 신비에 동참하여
아들의 생애와 구원사업에 일치한 어머니이기 때문이며
하느님의 은총에 힘입어 높임을 받았기 때문이다.
교부들은 마리아 공경의 형태를 사랑, 공경, 기도 그리고 모방 등네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마리아를 가장 사랑하는 어머니로 모시고 성자 다음으로 모든 것 위에 공경을 드리며 전구하고
성덕 전체를 본받는 것이 참된 마리아 공경의 형식인 것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또한 마리아 신심의 오용과 남용을 막기 위해 사목적 규범들을 명시,
교회가 인준한 성모 신심의 여러 형태의 질서안에서 ’정통교리의 테두리속에 시대와 장소의 조건이나
신도들의 기질과 품성에 따라야 함’을 명백히 하고 있다.
[가톨릭 교리를 의식적으로 가르치며 동시에 복되신 동정녀 공경, 특히 전례적 공경을 충분히 촉진하고,
세기를 통하여 교도권이 권장해온 신심 행위의 풍습을 중히 여기며,
과거에 그리스도와 복되신 동정녀와 성인들의 성상에 대하여 결정한 것을 엄수하도록
교회의 모든 자녀들에게 권고]한 공의회 문헌(교회헌장 8장, 22항)는 성모의 고유한 품위를 존중하는데 있어
마음의 협소함과 아울러 지나친 거짓 과장을 피할 것을 강력히 요청했다.
그리스도인의 참된 마리아 신심은 언제나 확실한 신앙에서 나오고
마리아께 향한 사랑을 지니고 그 덕행을 본받는 것을 촉진한다.
결실없이 지나가는 일시적 감정이나 허황된 믿음이 마리아 신심을 대변하는 것이 이니며
참된 신앙안에 있다는 것을 알아야함을 공의회는 천명하고 있다.
한국교회에서는 레지오마리애, 푸른군대 등 마리아께 대한 공경을 주제로 한 신심단체가
절대적 역할을 하고 있어 올바른 성모 신심행사 비중은 자못 크다.
환상이나 환영에 빠져 성모 발현과 성모이적의 허황함을 쫓고있는 신자들의 무지와 오해를 일깨워
참된 신앙의 터전위에 자녀다운 올바른 성모 심신을 배워
[마리아를 통한 그리스도께로]이끄는 사목적 배려와 본당 사목자들의 관심이 촉구된다.
(성바오로딸수도회홈에서)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b/1511/1208Immacolata%20Concezione%20della%20Beata%20Vergine%20Maria%202.jpg)
성 베르나르도의 성모님께 드리는 기도
지극히 인자하신 동정 마리아님, 생각하소서.
어머니 슬하에 달려들어
도움을 애원하고 전구를 청하고도
버림받았다 함을 일찍이 듣지 못하였나이다.
저희도 굳게 신뢰하는 마음으로
어머니 슬하게 달려들어,
어머니 앞에서 죄인의 눈물을 흘리오니,
동정녀 중의 동정녀이신 천주의 성모님,
저희의 기도를 못 들은 체 마옵시고,
인자로이 들어주소서.
*성 베르나르도 축일:8월20일.게시판1324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b/1511/1208Immaculate%20Conception-MURILLO,%20Bartolome%20Esteban.jpg)
Immaculate Conception-MURILLO, Bartolome Esteban
c. 1678, Oil on canvas, 274 x 190 cm.Museo del Prado, Madr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