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에프렘 부제의 「디아테사론 주해」에서 성 에프렘 부제의 「디아테사론 주해」에서 (Cap. 18,15-17: SCh 121,325-328) 주께서 다시 오시리니 깨어 있으라 그리스도께서는 제자들이 당신 오심의 날에 대해 질문하는 것을 그만두게 하시려고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날과 그 시간은 아무도 모른다. 하늘의 천사들도 모르고 아들도 모른다. 그날과 그.. 종교철학 2008.09.17
안티오키오의 이냐시오-2 3.1. 생 애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는 사도 베드로와 바오로가 세운 안티오키아 교회의 2대(혹은 3대) 주교로서 110년에 로마의 꼴로세움(원형극장)에서 맹수형으로 순교하였다. 그는 시리아의 안티오키아에서 선고를 받고 로마로 압송되어 가던 중에 7개의 서간을 쓰게 되었다. 안티오키아 도시는 제.. 종교철학 2008.09.17
디다케 6.1. 문헌의 가치와 중요성 우리는 그리스도교의 신앙의 핵심인 [사도신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초대교회 신도들의 윤리생활과 전례와 제반 규정에 관한 중요한 문헌인 디다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디다케(Didache)란 희랍어 단어는 [가르침]이란 뜻이다. 이 문헌의 원래 이름은 (열두 사도.. 종교철학 2008.09.17
다찌아노, 아테나고라스 앞에서 살펴본 성 유스띠노 외에 호교론자들이 많지만, 2세기 교회 상황을 잘 엿볼 수 있는 다찌아노와 아테나고라스를 비교하여 보도록 하자. 10.1. 다찌아노 다찌아노는 120년 경에 시리아의 이교가정에서 태어났으며, 로마에 와서 그리스도교에 귀의하였다. 그후 그는 성 유스띠노의 제자가 되지만, .. 종교철학 2008.09.17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 3.1. 생 애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는 사도 베드로와 바오로가 세운 안티오키아 교회의 2대(혹은 3대) 주교로서 110년에 로마의 꼴로세움(원형극장)에서 맹수형으로 순교하였다. 그는 시리아의 안티오키아에서 선고를 받고 로마로 압송되어 가던 중에 7개의 서간을 쓰게 되었다. 안티오키아 도시는 제.. 종교철학 2008.09.17
로마의끌레메스 2.1. 생애 로마의 끌레멘스가 95년경에 쓴 '제 1고린토 서간'은 최초의 교부문헌으로 인정 받고 있다. 교회의 문헌, 특히 교부문헌에서 사람의 이름 앞에 지명을 붙이는 것은 같은 이름을 가진 인물이 두 명 이상 일 때, 출신지나 관할 교구의 지명을 명시하여 서로 구별하기 위해서이다. 끌레멘스의 경우.. 종교철학 2008.09.17
스미르나의 뽈리까르뽀 4.1. 생애 뽈리까르뽀는 스미르나의 주교로서 초대교회 때부터 큰 존경을 받아오고 있다. 그는 사도요한에게 직접 배웠고 그로부터 주교 임명을 받았다고 한다. 따라서 그는 사도적 권위를 지니며 사도교부(使徒敎父)로 불리운다. 사도교부들이란 1세기와 2세기 초의 교부들로서 예수 그리스도를 제외.. 종교철학 2008.09.17
교부들의 중요성 우리는 그리스도교 신앙의 기초인 하느님의 계시가 성서 (聖書)와 성전(聖傳)으로 되어있다고 배웠다. 성서에 대해서는 신.구약 성경을 읽으면서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데, 교회의 거룩한 전통이란 뜻을 가진 성전(聖傳)은 무엇을 나타내는지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제 2차 바티칸 공의회 [계시.. 종교철학 2008.09.17
사도신경 5.1. 사도적 기원 사도신경은 그리스도교의 근본교리를 요약하고 있는 기도문이며 동시에 신앙고백문이다. 우리는 매 주일과 대축일미사에서 <사도신경>을 공동으로 고백하며, 특히 세례성사에서 이 신경을 토대로 하여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사도신경>의 명칭에서 .. 종교철학 2008.09.17
교부들의 시대 교부들의 시대는 크게 니체아 공의회 이전 시대, 황금시대, 쇠퇴기 등 세단계로 나뉘어 진다. 1.5.1. 니체아 공의회 이전 시대 최초의 만국 공의회였던 니체아 공의회(325년)는 교의사적 측면에서 전환기를 이루는 중요한 사건이었으며, 공의회 이전 시대는 콘스탄틴 대제의 밀라노 칙령(313년)이 있기 까.. 종교철학 2008.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