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스크랩] 제1회 - 70년대 민중가요의 성립과 배경

@로마의휴일 2008. 3. 27. 02:11

 

 



민중가요 변천사 첫번째 시간은 70년대 중 후반 민중가요라고 하는 노래문화가 성립된 배경에 대해 이야기로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70년대 중반 박정희 유신정권에 의해 초헌법적인 긴급조치시대가 시작되면서, 그 이전까지의 낭만적 학생운동기는 막을 내립니다.
집회가 금지되고 기본적인 권리가 박탈되면서 학생운동권에는 새로운 풍토가 만들어집니다.
그러다보니 운동권의 학생들은 일반 학생들과는 다른 인식, 다른 생활, 다른 문화를 가질 필요가 생기고 자신의 모든 것을 반성하고 바꾸고자 노력했습니다.
운동권 학생들은 대중가요의 향유를 거부하고, 대중가요가 가지는 체제순응성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가지게 되었고 이전까지의 자신들의 노래문화를 반성하면서 새로운 노래문화를 원하게 됩니다.


이렇게 70년대 후반, 민중가요라고 하는자생적인 문화가 성립된 것입니다.


1. 스텐카라친 - 새벽 [민문연 12집 - 저 평등의 땅에]
2. 진달래 - 메아리 [오리진 1]
3. 해방가 - 새벽 [민문연 11집 - 해방의 노래]
4. 흔들리지 않게 - 새벽 [민문연 11집 - 해방의 노래]
5. 어느민족누구게나(BG) - 살아오는 아우성 [장청 1집]
6. 우리의 믿음치솟아 - [인문연 1집 - 너를 부르마 ]
7. 아하 누가 그렇게 - [김민기 1집]
8. 야근 - 김민기 [노래극 - 공장의 불빛]
9. 역 - [양병집 1집]
10.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울림터 1집(84년겨울)
11. 밥 자유 평등 평화 - 새벽 [민문연 15집 - 현장의 소리]

출처 : 어둠 속에 갇힌 불꽃
글쓴이 : 정중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