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은 다른 카페에 올려진 글을 옮겨왔습니다.
(쌍뚜스와 베네딕뚜스 에 관련하여 정의를 내린부분입니다.)
거룩하시도다 (Sanctus 와 Benedictus)입니다.
참조 바랍니다.
파란 색으로 쓴 부분은 직역, ( ) 안에 쓴 부분은 현재 사용하는 한국어 기도문입니다.)
------------------------------------------------------------
Sanctus (거룩하시도다)
㈜ ‘거룩하시도다’는 ‘Sanctus’와 ‘Benedictus’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원래는 하나의 기도문이었지만 뜨리덴띠노 공의회 이후 거룩한 변화 전에 ‘Sanctus’를 바치고 거룩한 변화 후에 ‘Benedictus’를 바쳤으며, 이 때 매우 화려하게 기도문을 봉헌하였습니다.
이런 이유로 르네상스 시기에 작곡된 미사곡은 이 두 부분이 나뉘어서 작곡되어 있으며, Benedictus에 매우 화려하고 긴 전주가 붙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제 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다시 이 두 개의 기도문이 하나로 합쳐졌고, 거룩한 변화 전에 바쳐지게 되었습니다.
간혹 Benedictus의 전주가 너무 길고 화려하여 이 부분을 생략하고 미사곡을 봉헌하는 경우가 있는데, 전주 부분을 생략하고라도 반드시 Benedictus를 봉헌하여야 완전한 기도문을 봉헌하는 것임에 유의 바랍니다.
Sanctus, Sanctus, Sanctus, Dominus Deus Sabaoth.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만군의 주 하느님
(거룩하시도다, 거룩하시도다, 거룩하시도다, 온 누리의 주 하느님)
Sanctus : (형)거룩한
Dominus : 주님 (소문자일 경우는 주인)
Deus : 하느님 (소문자로 쓸 경우는 신, 잡신의 의미)
sabaoth : (히브리어에서 옴) 군대, 만군
Pleni sunt caeli et terra gloria tua.
당신의 영광이 하늘과 땅에 가득합니다.
(하늘과 땅에 가득찬 그 영광)
Pleni : (형)plenus –a –um (가득하다)의 복수 주격
sunt : sum 동사(영어의 be 동사)의 복수 3인칭
caeli : calum(하늘)의 소유격
(이 구절에서는 탈격의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어미의 형태는 소유격입니다. 혹시 아시는 분이 계시면 설명 부탁 드립니다.)
et : 그리고 ~과, ~와
terra : 땅
Gloria : 영광
tua : (소유형용사 2인칭) 당신의
Hosanna in excelsis.
하늘 높은 곳에 호산나
(높은 데서 호산나)
excelsis : excelsum(높은 곳)의 복수 목적격. 복수로 쓰일 경우 ‘하늘’의 의미가 됨.
Benedictus qui venit in nomine Domini.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찬미받으시는 분.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분 찬미받으소서)
benedictus : benedicere (bene(잘, 좋은)+dicere (말하다), 축복하다, 찬미하다)의 명사형으로 쓰임. 즉, 축복받은 사람, 찬미받은 사람의 의미가 됨.
(일반 명사형인 benedictum은 ‘축복’이라는 의미임)
qui : 관계 대명사
venit : venere (오다)의 3인칭 단수, 현재
in : ~안에, ~안으로, ~로, ~ 되도록….
nomine : nomen(이름)의 목적격
Domini : Dominus(주님)의 소유격
Hosanna in excelsis.
하늘 높은 곳에 호산나
(높은 데서 호산나)
'카톨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바흐 - 칸타타" BWV 1, "이 얼마나 아름답게 빛나는 샛별인가" (Wie schön leuchtet der Morgenstern) (0) | 2007.09.15 |
---|---|
[스크랩] 아~...`파바로티` Luciano Pavarotti (0) | 2007.09.15 |
[스크랩] 사도신경(Credo in Deum) 과, 신경(Credo in unum Deum) 의 비교 와 내용 (0) | 2007.08.23 |
예수님을 바라 봅시다.(히브12.2) (0) | 2007.08.19 |
예수 그리스도 (0) | 2007.08.19 |